개발관련/컴퓨터구조론 3

컴퓨터 구조 - 디스패처(Dispatcher)란?

디스패처? 컴퓨터 시스템에서 작업을 적절한 처리기로 할당하거나, 이벤트를 적절한 핸들러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입니다. 디스패처는 작업이나 이벤트의 발생 시기와 우선순위를 관리하고, 해당 작업 또는 이벤트를 처리할 적절한 처리기나 핸들러로 전달합니다. ​ 디스패처 동작원리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프로세스가 생성되고 Ready 상태가 됩니다. 그 후 스케줄러가 Ready Queue에 있는 프로세스 중 하나를 프로세서(CPU)가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될 때 CPU를 할당해 줍니다. ​ 이때 Ready에서 Running으로 State Transition이 일어나는데 이 과정을 Dispatching이라고 하고 Dispatcher가 이 작업을 수행합니다. 디스패처의 역할 작업/ 이벤트 ..

컴퓨터 구조 - 인터럽트(Interrupt)란?

이번 시간에는 여러분이 개발하면서 많이 듣게될 용어중 하나인 인터럽트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 인터럽트? 인터럽트란 컴퓨터 시스템에서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나 스레드의 정상적인 흐름을 중단시키고, 특정 이벤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머...멈춰!!!! 인터럽트는 크게 하드웨어 인터럽트와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두가지 종류로 나뉩니다. 인터럽트의 종류 ​ 하드웨어 인터럽트 하드웨어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요청으로 발생하는 인터럽트입니다. 하드웨어 인터럽트는 입출력(I/O) 인터럽트, 타이머 인터럽트, 외부 인터럽트 등이 있습니다. 입출력 인터럽트는 입출력 장치에서 데이터의 입출력 요청이 발생할 때, 타이머 인터럽트는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발생하는 타이머 신호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하드웨어 인..

컴퓨터 구조 - 메모리 구조

회사에서 일하고 있는데 대표님이 메모리 구조표 들고오시면서 이거 뭔지 아시냐고 물어보시더군요.. 대학생때 컴퓨터 구조론 들으면서 봤던 기억이나서 이거저것 이야기 하다가 나중에 대표님이 신입 면접볼때 이거 아는지 물어봐야겠다 라고 하셔서 아이거 포스팅 해야겠다... 라고 마음먹었습니다. ​ 우선 완전 딥하게는 들어가지 않을겁니다. 그냥 컴퓨터 구조론에있는 메모리 구조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만 드릴겁니다. 이정도 까지만 알아도 OK입니다. ​ 깊게내려가면 정말 한도끝도 없는거라 이해해 주시길 바랍니다. ​ 주절주절 설명할 이유가 있겠습니까 먼저 그림부터 보시죠. 메모리의 구조 ​ 위키백과에서 나타내는 메모리구조 음... 일단 너무 복잡한것 같습니다. 좀더 간략화 해보도록 하죠. 메모리의 구조는 크게 5가지 영..